“6·27 대책 이후 상승세 꺾일 가능성 커”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이 98.5%를 기록하며 3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전 이뤄진 낙찰 결과로, 향후 상승세는 주춤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경·공매 정보업체 지지옥션이 8일 발표한 ‘2025년 6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총 3,013건으로 전월(2,902건) 대비 4% 증가하며 한 달 만에 다시 3,000건을 넘어섰다. 낙찰률은 42.7%로 전월(38.7%)보다 4.0%p 상승했고, 낙찰가율은 87.6%로 전월 대비 소폭(0.2%p) 하락했지만 서울과 세종 등 일부 지역의 강세 덕분에 전체 수치가 견조하게 유지됐다.
특히 서울 아파트는 낙찰가율이 98.5%로 전월(97.7%) 대비 0.8%p 오르며 2022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낙찰률 역시 46.5%로 전달보다 1.3%p 상승해 올해 1월(47.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강남 3구뿐 아니라 노원·도봉·구로 등 외곽지역에서도 고가 낙찰 사례가 이어지며 낙찰가율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유찰 없이 첫 회차에 낙찰된 건수는 전체의 31%(33건)로, 전달보다 10%p 증가했다.
다만 지난달 말 발표된 6·27 부동산 대책으로 대출한도가 대폭 축소되면서 투자 수요가 위축될 것으로 예상돼 향후 낙찰가율 상승세는 꺾일 가능성이 높다.
경기도 아파트도 낙찰가율과 낙찰률이 모두 상승세를 이어갔다. 낙찰률은 51.2%로 전월 대비 5.7%p 올랐고, 낙찰가율은 89.7%로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성남 분당과 용인 수지구의 고가 낙찰 사례가 상승을 견인했다. 평균 응찰자 수도 11.1명으로 전월보다 1.2명 늘었다.
인천은 낙찰률이 40.4%로 전월보다 5.0%p 상승했지만, 낙찰가율은 79.0%로 3.2%p 하락하며 한 달 만에 80%선을 밑돌았다. 미추홀구 내 전세사기 피해주택 수십 채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저가에 매입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방 5대 광역시 중에서는 부산(81.8%)과 광주(83.9%)가 올해 최고 낙찰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대전은 67.0%로 전월 대비 14.9%p 급락하며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울산도 2.0%p 하락한 85.2%를 기록했다.
지방 8개 도 중에서는 경남(80.7%)과 강원(87.3%)이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 반면, 충남(78.6%), 전북(87.2%), 전남(76.0%), 경북(78.9%), 충북(81.7%) 등은 일제히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밖에 제주도는 낙찰률 38.1%(21건 중 8건), 낙찰가율 86.9%를 기록했고, 세종시는 낙찰률 31.3%(16건 중 5건), 낙찰가율 92.4%로 집계됐다.
'투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한 카카오 주가 (54) | 2025.07.09 |
---|---|
터무니없이 고평가된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현대차와 딱 비교해드림! (26) | 2025.07.09 |
HMM 흠슬라 주가전망, 계속 오를까? (48) | 2025.07.08 |
엔비디아 왕좌를 노리는 AMD 주가 전망 (57) | 2025.07.07 |
일론 머스크 창당, 미국 언론 평가 그리고 테슬라 주가 폭락?? (45)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