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간 상법이 개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예상되는 수혜주 중 하나인 KG스틸을 살펴봤습니다.
KG그룹 편입 이후 매년 2000~3000억원, 안정적이고 꾸준하게 영업이익을 창출하고 있는데
시가총액은 6000억원대, PBR은 0.3배에 불과합니다. 대표적인 저PBR주.
KG스틸 2020년 ~ 2024년 실적 및 재무 지표 (연결 기준)
- 매출액:
- 2020년: 2조 987억 원
- 2021년: 3조 2,084억 원
- 2022년: 3조 6,765억 원
- 2023년: 3조 2,878억 원
- 2024년: 3조 3,010억 원
- 영업이익:
- 2020년: 855억 원
- 2021년: 2,896억 원
- 2022년: 3,259억 원
- 2023년: 2,879억 원
- 2024년: 2,060억 원
- 당기순이익:
- 2021년: 1,802억 원
- 2022년: 5,268억 원 (FnGuide 기준)
- 2023년: 1,880억 원 (FnGuide 기준)
- 2024년: 1,325억 원
- PER (주가수익비율): 6월 25일 현재 기준 약 3.57배
- PBR (주가순자산비율): 6월 25일 현재 기준 약 0.31배
- 시가총액: 2024년 6월 25일 현재 6,200억 원
이재명 정부의 상법 개정안 주요 내용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상법 개정안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사 충실의무 확대: 현재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이 '회사'로 되어 있으나, 이를 '주주'로까지 확대하여 이사가 회사는 물론 주주 전체의 이익을 위해 일하도록 명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집중투표제 의무화: 자산 2조 원 이상의 상장사에 대해 집중투표제를 의무화하여 소액주주의 이사 선임권을 강화하고, 대주주의 지배력을 견제하려는 목적입니다.
- 사외이사(독립이사) 비중 확대: '사외이사' 명칭을 '독립이사'로 변경하고, 이사 총수 중 비중을 기존 1/4에서 1/3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됩니다.
주식시장 영향:
- 상법 개정안의 주요 취지는 주주 친화 정책을 강화하여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한국 증시의 저평가 문제를 개선하는 것입니다. 이사의 주주 충실의무 확대, 소액주주의 권리 강화 등은 기업의 지배구조 투명성을 높이고, 기업 가치를 제고하여 장기적으로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PBR이 낮은 기업들의 경우 주주환원 확대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밸류업 프로그램과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상법 개정안 연동 KG스틸 주가 전망
KG스틸은 현재 PBR이 0.31배로 매우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상법 개정안과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 추진으로 인한 주주가치 제고 기대감이 높은 종목 중 하나입니다.
- 긍정적 측면:
- 저평가 매력: 낮은 PBR은 주주환원 정책 강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입니다. 이재명 정부의 상법 개정안이 주주 이익을 강조하고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목표로 하는 만큼, KG스틸과 같이 저평가된 기업들은 밸류업의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현금 보유: 일부 분석에 따르면 KG스틸은 현금 보유가 많아 주주환원 확대 여력이 충분하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이는 상법 개정안이 요구하는 주주 이익 제고에 부합할 수 있습니다.
- 배당 증액 기대: 실제로 KG스틸은 2021년 100원에서 2023년 200원, 2024년 250원으로 DPS를 꾸준히 늘리고 있어 주주환원에 대한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상법 개정안은 이러한 배당 증액 기조를 더욱 가속화시킬 수 있습니다.
- 경영 효율화 및 실적 개선 노력: 최근 2024년 실적 설명회 자료를 보면 설비 합리화 투자 및 신규 시장 개척 노력을 통해 판매 단가 상승과 원가 절감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기업 가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부정적 측면 및 리스크:
- 철강 시황: KG스틸은 철강 산업에 속해 있어 전반적인 철강 시황, 건설 경기, 원자재 가격 변동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국내외 경기 둔화가 지속될 경우 실적 개선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주가 조작 우려: 일부 투자자들은 KG스틸의 주가 조작 우려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입니다.
- 상법 개정안의 최종 내용: 상법 개정안의 구체적인 내용과 최종 통과 여부, 그리고 기업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은 아직 불확실합니다. 재계의 우려가 반영되어 일부 내용이 완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종합적인 주가 전망:
이재명 정부의 상법 개정안은 KG스틸과 같은 저PBR 기업들에게 긍정적인 모멘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주가치 제고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확인된다면, KG스틸의 낮은 PBR은 매력적인 투자 포인트로 부각될 수 있습니다. 특히 주주환원 확대(배당 증액 및 자사주 매입/소각)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긍정적으로 반영될 것입니다.
핵심: KG스틸은 정부가 추진하는 밸류업 프로그램과 상법 개정안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저평가 기업으로 분류됩니다.
'투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7 주택담보대출 규제 총정리, 아파트 시장 전망과 피해주는? (101) | 2025.06.27 |
---|---|
거침없는 세계 1위 '케이팝 데몬 헌터스', 수혜주는? (62) | 2025.06.27 |
미국 한국 대표 성장주 VS 가치주 5선 (100) | 2025.06.25 |
이재명정부 새 장관 후보자 지명, 수혜주는? (70) | 2025.06.24 |
이란 호르무즈 해협 봉쇄, 수혜 종목은? (45)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