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정보

한달째 상승중인 블라스트(BLAST) 코인

유익한 놀이터 2025. 7. 27. 10:59
반응형

블라스트(BLAST) 코인 그래프

 

위 그래프에서 보듯 블라스트(BLAST) 코인이 6월 30일을 기점으로 오늘까지 계속 상승 중입니다. 

대략 25일 동안 2배로 올랐습니다. 하루만에 100% 올랐다가 다시 쭉 빠지는 코인도 있지만 그런 코인 보다는 블라스트 처럼 꾸준하게 오르는 코인을 저는 더 좋아보입니다.


블라스트 코인은 누가, 언제, 무슨 목적으로 만들었는지,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앞으로 전망은 어떤지 자세하게 정리했습니다. 

 
 
 
 
 

1. 블라스트(BLAST) 코인은 언제, 누가, 무슨 목적으로 만들었나?

  • 언제: 블라스트는 2023년 11월에 출시되었으며, 메인넷은 2024년 2월에 가동되었습니다. 블라스트(BLAST) 토큰의 에어드롭은 2024년 6월 26일에 진행되었습니다.
  • 누가: 블라스트는 NFT 마켓플레이스인 블러(Blur)의 창립자인 **팩맨(Pacman, Tieshun Roquerre)**이 주도하여 만들었습니다. 글로벌 가상자산 VC인 패러다임(Paradigm), 스탠다드크립토(Standard Crypto) 등도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 무슨 목적으로: 블라스트는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들에게 **기본 수익(Native Yield)**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이더리움 레이어2(L2) 솔루션입니다. 기존의 다른 L2 솔루션들이 0%의 이자율을 제공하는 것과 달리, 블라스트는 사용자가 ETH나 스테이블코인(USDC, USDT, DAI 등)을 보유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사용자와 개발자를 유치하고,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블라스트(BLAST) 코인의 특징은?

블라스트는 다음과 같은 독특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 기본 수익(Native Yield) 제공:
    • ETH 수익: 블라스트는 사용자가 ETH를 예치하면 이더리움 스테이킹(Lido 등)을 통해 발생하는 수익을 자동으로 리베이싱(rebasing)하여 사용자 지갑의 ETH 잔액에 반영합니다. 이는 랩핑된 ETH(WETH, stETH 등)를 사용하는 다른 시스템과 달리, ETH 자체로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해줍니다.
    • 스테이블코인 수익: 블라스트는 자체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인 USDB를 발행하며, USDB는 MakerDAO의 온체인 T-Bill 프로토콜을 통해 5%의 수익을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다른 스테이블코인(USDC, USDT, DAI)을 블라스트로 브릿지하면 USDB로 전환되어 이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가스비 수익 공유: 다른 L2 솔루션들이 가스비 수익을 자체적으로 보유하는 것과 달리, 블라스트는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가스비 수익의 일부를 DApp 개발자들에게 재분배합니다. 개발자들은 이 수익을 직접 가져가거나 사용자들의 가스비를 보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어 DApp 생태계 성장에 큰 이점으로 작용합니다.
  • 자동 리베이싱(Auto-Rebasing): ETH와 USDB 잔액이 자동으로 조정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유량이 증가합니다. 사용자가 별도의 행동을 취하지 않아도 수익이 발생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도 이 리베이싱 메커니즘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옵티미스틱 롤업(Optimistic Rollup) 기반: 이더리움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옵티미스틱 롤업 기술을 사용합니다. 이는 오프체인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한 후 이더리움 메인넷에 기록하여 트랜잭션 속도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합니다.
  • 포인트 시스템: 사용자들은 ETH, WETH, USDB 잔액에 따라 블라스트 포인트와 블라스트 골드를 자동으로 획득합니다. 이 포인트는 향후 에어드롭 등 다양한 보상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에 예치된 자금에 대한 포인트도 DApp이 사용자에게 재분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3. 블라스트(BLAST) 코인의 앞으로 전망은?

블라스트는 출시 이후 빠르게 예치금(TVL)을 확보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재 레이어2 솔루션 중 높은 TVL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긍정적인 전망 요인:
    • 혁신적인 기본 수익 모델: 기존 L2와 차별화된 기본 수익 제공은 사용자 유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자산 보유만으로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 활발한 DApp 생태계 확장: 가스비 수익 공유 모델은 개발자들에게 매력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다양한 DApp이 블라스트 위에 구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미 많은 DApp들이 블라스트 생태계에 합류하고 있습니다.
    • 강력한 백커 및 팀: 블러(Blur)의 성공을 이끈 팩맨과 유명 VC들의 참여는 프로젝트의 신뢰도를 높이고 장기적인 발전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합니다.
    • 높은 유동성: 현재 높은 TVL을 유지하며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어, 활발한 거래와 DApp 활동이 가능합니다.
  • 고려해야 할 점:
    • 경쟁 심화: 이더리움 레이어2 시장은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옵티미즘, 아비트럼, zkSync 등 강력한 경쟁자들이 많아 지속적인 혁신과 차별화가 필요합니다.
    • 폰지 사기 논란: 초기에는 "미가동 상태에서 예치금만 받는 폰지 사기"라는 일부 비판이 있었으나, 메인넷 출시 및 에어드롭을 통해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 토큰 가격 변동성: 에어드롭 직후 매도 물량으로 인해 가격 변동성이 컸습니다. 장기적인 가격 안정화는 생태계의 실제 사용량과 지속적인 개발에 달려 있습니다.
    • 규제 불확실성: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규제 환경 변화는 모든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종합적으로 볼 때, 블라스트는 혁신적인 수익 모델과 강력한 개발팀을 기반으로 이더리움 레이어2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DApp 생태계 구축과 지속적인 기술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앞으로도 긍정적인 성장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치열한 경쟁 환경과 시장 변동성은 항상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