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정보

미국 밈주식 열풍, 밈주식 뜻

유익한 놀이터 2025. 7. 25. 14:02
반응형

증시 불장을 상징하는 황소

 

 

최근 미국 주식시장에서 다시금 '밈 주식(Meme stock)'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밈주식 뜻은 무엇인지, 어떤 특징이 있는지, 어디에서 유래한 것인지 등을 정리했습니다.



밈 주식이란?

 '밈(Meme)'은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사진이나 영상 등을 뜻하는 용어로, 주식 시장에서는 이러한 유행처럼 개인 투자자들의 반복적인 모방 투자를 통해 주가가 움직이는 현상을 '밈 주식(Meme stock)' 이라고 부릅니다. 밈 주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 온라인 커뮤니티 주도: 주로 레딧(Reddit)의 '월스트리트베츠(r/wallstreetbets)'와 같은 온라인 주식 토론방에서 특정 종목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집중됩니다.
  • 펀더멘털 무시: 기업의 매출, 순이익 등 기본적인 재무 지표나 사업 성과와는 상관없이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과 투기적 심리에 의해 주가가 움직입니다.
  • 높은 변동성: 급격한 주가 상승 이후 빠르게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매우 커서 고위험 투기로 분류됩니다.
  • 공매도와의 대결: 종종 헤지펀드와 같은 기관 투자자들의 공매도 대상이 되었던 기업의 주식을 개인 투자자들이 단합하여 매수하면서 '숏 스퀴즈(short squeeze)'를 유발하여 주가를 폭등시키기도 합니다. 이는 공매도 세력에게 손실을 입히려는 의도도 포함됩니다.

최근 밈 주식 사례:

최근 미국 주식 시장에서는 과거 게임스톱 사태와 유사한 현상이 재현되고 있습니다.

  • 고프로(GoPro): 휴대용 카메라 장비 업체인 고프로는 뚜렷한 호재 없이 온라인 주식 토론방에서 언급되며 주가가 급등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크리스피크림(Krispy Kreme): 도넛 프랜차이즈인 크리스피크림 또한 개장 초 급등했다가 상승 폭을 반납하며 밈 주식의 전형적인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 콜스(Kohl's): 미국의 유명 백화점 체인인 콜스 역시 개인 투자자들의 타깃이 되어 급등락을 반복했습니다.
  • 오픈도어 테크놀로지스(Opendoor Technologies): 부동산 플랫폼 업체인 오픈도어 역시 밈 주식으로 묶여 급등락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종목들은 모두 공매도율이 높은 종목들이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과거 밈 주식 현상 사례

밈 주식 현상의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인 사례는 2021년 초에 발생한 게임스톱(GameStop) 사태입니다.

  • 게임스톱(GameStop): 비디오 게임 소매업체인 게임스톱은 디지털 다운로드 시장 확대로 인해 실적 부진을 겪고 있었고, 여러 헤지펀드들이 이 기업의 주식을 대규모로 공매도하고 있었습니다.
  • 월스트리트베츠(r/wallstreetbets)의 반격: 레딧의 '월스트리트베츠' 커뮤니티의 개인 투자자들은 게임스톱의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고, 헤지펀드들의 과도한 공매도에 반발하여 게임스톱 주식을 대량으로 매수하기 시작했습니다.
  • 역대급 숏 스퀴즈: 개인 투자자들의 집중적인 매수세로 인해 주가가 폭등했고, 이는 공매도 포지션을 청산하려는 헤지펀드들의 '숏 스퀴즈'를 유발하여 주가를 더욱 끌어올렸습니다. 2020년 4월 주당 3.25달러에 불과했던 게임스톱 주가는 2021년 1월 한때 347.5달러까지 치솟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게임스톱을 공매도했던 일부 헤지펀드는 막대한 손실을 보고 펀드를 청산하기도 했습니다.
  • 기타 사례: 게임스톱 사태 이후 AMC 엔터테인먼트(AMC), 베드 배스 앤드 비욘드(Bed Bath & Beyond), 블랙베리(BlackBerry) 등도 밈 주식으로 분류되어 비슷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특히 AMC는 게임스톱 다음으로 대표적인 밈 주식으로 꼽히며 개인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생활용품 소매점인 베드 배스 앤드 비욘드는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밈 주식화되어 주가가 폭등했으나 결국 파산 신청을 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밈 주식 현상은 새로운 형태의 투기적 시장 움직임을 보여주며, 개인 투자자들의 온라인 연대가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됩니다.

하지만 동시에 기업의 본질 가치와 무관하게 주가가 움직이므로 투자에 대한 높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