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 저것

대한민국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몇개?(2025년 7월 현재 목록 총정리)

유익한 놀이터 2025. 7. 28. 11:00
반응형

유네스코 세계유산 함안 말이산고분군


경남 함안군에 있는 말이산고분군을 지나가다 컴퓨터 바탕화면 같은 풍경이 펼쳐져 있어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정말 예쁜 그림 같았습니다. 말이산고분군은 가야시대 고분인데, 유네스코 세계유산입니다.
이쯤에서 우리나라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몇가지나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세계유산 1호는 무엇인지 총정리했습니다.

대한민국에는 총 17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유산 15건, 자연유산 2건)이 있습니다. 

한국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과 각 유산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 내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 (등재 순서)

1. 석굴암 · 불국사 (1995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신라 불교 예술의 정수로 평가받는 유적. 석굴암은 동아시아 석굴 사원의 전형을 보여주는 걸작이며, 불국사는 뛰어난 건축미와 조화를 이루는 배치로 신라 시대의 건축 기술과 불교 사상의 정수를 담고 있습니다.

2. 해인사 장경판전 (1995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전은 고려 시대 인쇄술의 발달과 당시 건축 기술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귀중한 유산입니다. 습도와 온도를 자연적으로 조절하는 과학적인 건축 방식으로 대장경판을 수백 년간 보존해왔습니다.

3. 종묘 (1995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조선 왕조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국가 최고의 사당입니다. 간결하면서도 웅장한 건축 양식과 조상 숭배 사상을 담고 있는 제례 의식(종묘 제례 및 종묘 제례악)이 현재까지도 전승되고 있어 그 가치가 높습니다.

4. 창덕궁 (1997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조선의 궁궐 중 유일하게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곳입니다.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한국 건축의 미학을 잘 보여주며, 인공적인 요소를 최소화하고 자연 지형을 그대로 살려 배치한 점이 특징입니다.

5. 수원 화성 (1997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조선 후기 정조대왕이 건설한 계획도시의 성곽입니다. 동서양의 축성술이 집약된 과학적인 설계와 뛰어난 방어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실학 사상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건축 기술과 재료가 적용되었습니다.

6. 경주역사유적지구 (2000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한 유적들이 밀집된 지역입니다. 불교 유적, 왕릉, 산성 등 다양한 종류의 유적들이 신라 문화의 황금기를 증명하며, 한국 고대 문화의 정수를 보여줍니다.

7. 고창 · 화순 · 강화 고인돌 유적 (2000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선사시대 고인돌 유적으로, 전 세계 고인돌 분포 지역 중에서도 가장 밀집된 지역에 속합니다. 거대한 바위를 이용한 축조 기술과 당시 사람들의 사회 구조, 문화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8.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2007년 등재, 자연유산)

  • 특징: 한국 최초의 자연유산입니다. 한라산,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등 다양한 화산 지형과 동굴이 분포하며, 빼어난 자연 경관과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독특한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도 중요한 특징입니다.

9. 조선왕릉 (2009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조선 왕조 역대 왕과 왕비들의 무덤입니다. 유교적 세계관과 풍수지리 사상을 바탕으로 조성되었으며, 왕릉 건축 양식의 변화와 조선 시대의 상장례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산입니다.

10.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 (2010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조선 시대 양반 문화를 잘 보존하고 있는 전통 마을입니다.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룬 마을 배치, 전통 가옥들, 그리고 오랜 세월 이어져 온 씨족 공동체의 전통이 살아있는 곳입니다.

11. 남한산성 (2014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조선 시대 국방 기술의 집약체로 평가받는 산성입니다. 지형을 활용한 방어 체계와 병자호란 이후 수차례 개축되면서 쌓인 축성 기술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비상시 임시 수도 역할을 했던 역사적 의미도 큽니다.

12. 백제역사유적지구 (2015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백제 시대의 수도였던 공주, 부여, 익산에 분포한 유적들로 구성됩니다. 왕궁, 사찰, 왕릉 등 다양한 유적들은 백제의 독창적인 불교 미술, 건축 기술, 도성 계획 등을 보여주며 동아시아 문화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한 백제의 역사를 증명합니다.

13.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18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통도사, 부석사, 봉정사,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 등 한국의 전통 산사 7곳을 포함합니다.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으로, 자연과 조화된 공간 배치, 수행 공동체의 전통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14. 한국의 서원 (2019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도산서원, 병산서원, 소수서원 등 9개의 서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조선 시대 유교 교육 기관이자 학문 연구 공간이었던 서원은 유교 문화의 발달과 당시 지식인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산입니다.

15. 한국의 갯벌 (2021년 등재, 자연유산)

  • 특징: 서천 갯벌, 고창 갯벌, 신안 갯벌, 보성-순천 갯벌로 구성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희귀한 지형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이자 이동성 물새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로서 생물 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가치를 지닙니다.

16. 가야고분군 (2023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김해 대성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등 7개 고분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6세기에 걸쳐 존재했던 가야의 독자적인 문화와 정치 체계, 그리고 동아시아 고대 문명 간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입니다.

17. 반구천의 암각화 (2025년 등재, 문화유산)

  • 특징: 국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를 포함하는 단일 유산입니다. 선사시대부터 약 6천 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며, 고래를 비롯한 다양한 동식물, 인물, 사냥 모습 등이 탁월한 관찰력과 예술성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특히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는 선사인들의 창의성을 보여주는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귀중한 유산입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의미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다는 것은 해당 유산이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 OUV)'를 지니고 있음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입니다. 단순히 한 국가나 지역의 가치를 넘어, 전 인류에게 중요한 문화적 또는 자연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 세대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를 위해 보존되어야 할 가치 있는 유산임을 공인하는 것입니다.

 

세계유산 등재의 좋은 점

  1. 국제적 위상 및 인지도 향상:
    •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는 해당 유산에 대한 전 세계적인 인식을 높여줍니다. 이는 해당 유산이 속한 국가 및 지역의 문화 수준과 위상을 드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 국제적인 홍보 효과로 관광객 유치에 큰 도움이 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울산 반구천 암각화의 경우에도 등재 이후 관련 관광 프로그램 및 홍보 활동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 보존 및 관리 노력 강화:
    •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 해당 유산의 보존 및 관리에 대한 국제 사회의 관심과 감시가 높아집니다.
    • 유네스코 세계유산 협약에 따라 해당 국가는 유산의 보존 상태를 정기적으로 보고해야 하며, 필요시 국제기구 및 단체의 기술적,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유산의 체계적인 보존 계획 수립과 관리 수준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 국내적으로도 해당 유산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과 예산 지원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국민적 자긍심 고취 및 교육적 활용:
    • 자국의 유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는 것은 국민들에게 큰 자긍심과 자부심을 안겨줍니다. 이는 문화유산 보호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참여를 높이는 계기가 됩니다.
    • 세계유산은 역사, 문화, 과학, 자연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후손들에게 소중한 유산을 물려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전쟁 시 보호 가능성:
    •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유산은 1954년 헤이그 협약(무력충돌 시 문화재 보호에 관한 협약) 등 국제 협약에 따라 전쟁이나 무력 충돌 시 파괴 또는 오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를 가집니다.
  5. 연구 및 학술 교류 증진:
    • 세계유산 등재는 해당 유산에 대한 국내외 학자들의 연구와 관심을 촉진하며, 관련 분야의 학술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처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는 단순히 하나의 목록에 오르는 것을 넘어, 해당 유산의 보존과 활용, 그리고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지키고 전 세계와 공유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1호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1호는 1978년에 등재된 12개 유산들을 말합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협약이 1972년에 채택되었고, 첫 등재는 1978년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단일한 1호'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1978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처음 등재된 12개 유산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문화유산 (7개)

  1. 아헨 대성당 (Aachen Cathedral) - 독일
  2. 크라쿠프 역사 지구 (Historic Centre of Kraków) - 폴란드
  3. 고레 섬 (Island of Gorée) - 세네갈
  4. 키토 시가지 (City of Quito) - 에콰도르
  5. 라리벨라 암굴 교회군 (Rock-Hewn Churches, Lalibela) - 에티오피아
  6. 비엘리츠카 소금광산 (Wieliczka Salt Mine) - 폴란드
  7. 랑스 오 메도스 국립역사공원 (L'Anse aux Meadows National Historic Site) - 캐나다

자연유산 (5개)

  1. 갈라파고스 제도 (Galápagos Islands) - 에콰도르
  2. 시미엔 국립공원 (Simien National Park) - 에티오피아
  3. 나하니 국립공원 (Nahanni National Park Reserve) - 캐나다
  4. 옐로스톤 국립공원 (Yellowstone National Park) - 미국
  5. 메사 베르데 국립공원 (Mesa Verde National Park) - 미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