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정보
트론(TRX)이 이더리움을 제칠까? 그러면 대박인데...
유익한 놀이터
2025. 5. 27. 13:56
얼마전에 트론을 통한 스테이블코인 거래가 이드리움을 넘어섰다는 보도가 있었지요.
그래서 트론 코인에 대해 알아봅니다.
트론(TRON, TRX)은 탈중앙화된 인터넷 생태계를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입니다. 아래에 트론의 개요, 특징, 실적, 그리고 향후 전망을 정리해 드릴게요:
✅ 트론(TRON)은 누가, 언제, 왜 만들었나?
- 창시자: 저스틴 선(Justin Sun)
– 중국 출신 기업가이며, 리플(Ripple)의 전 대사이기도 함.
– 2017년 포브스 아시아 ‘30세 이하 리더’에 선정. - 출시 시점: 2017년 9월
- 목적:
– **중앙집중형 콘텐츠 플랫폼(예: 유튜브, 넷플릭스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 콘텐츠 제작자와 사용자 사이의 직접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 이를 통해 중개 수수료 없이 창작자가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자 함.
🧩 트론의 주요 특징
- 고성능 블록체인
- 초당 2,000건 이상의 트랜잭션 처리 속도(TPS).
- 이더리움보다 훨씬 빠르고 수수료가 거의 없음.
-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 플랫폼
- 다양한 게임, DeFi(탈중앙화 금융), NFT 프로젝트들이 트론 위에서 운영됨.
- 에너지 효율성
- Delegated Proof of Stake(DPoS) 합의 알고리즘 사용 → 전력 소비 적음.
- BitTorrent 인수
- 2018년 세계 최대 P2P 파일 공유 플랫폼인 BitTorrent를 인수.
- 이후 BTT(비트토렌트 토큰)를 발행하여 파일 공유에 토큰 인센티브 부여.
📊 지금까지의 실적
- 이용자 수:
– 2024년 기준, 트론 블록체인 주소 수 2억 개 이상,
– 누적 트랜잭션 수 70억 건 이상,
– 스테이블코인(USDT 등) 유통량 기준 1위 블록체인. - 총 예치 자산(TVL):
– DeFi 시장에서 트론의 TVL은 이더리움 다음으로 높은 수준. - USDT 주도권 확보:
– 트론 네트워크에서 USDT 사용량이 매우 활발 → 글로벌 송금 시장에서 인기.
🔮 트론의 향후 전망
👍 긍정적인 전망:
- 낮은 수수료와 빠른 속도 덕분에 동남아, 남미 등지에서 글로벌 송금용 플랫폼으로 확대 가능성.
- USDT 기반 거래가 계속 증가하면 스테이블코인 결제 인프라로 자리 잡을 수 있음.
- Web3 및 게임 산업 확장에 따른 DApp 수요 증가.
⚠️ 주의할 점:
- 창립자 저스틴 선의 논란(과장된 마케팅, 규제 이슈 등)이 종종 신뢰에 영향을 미침.
-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의 증권성 판단 대상으로 거론됨 → 법적 리스크.
📝 정리하면
항목내용
창립자 | 저스틴 선 (Justin Sun) |
출시 시기 | 2017년 9월 |
목적 | 탈중앙 콘텐츠 생태계 구축 |
주요 특징 | 빠른 속도, 낮은 수수료, DApp 플랫폼, BitTorrent 통합 |
실적 | 2억 지갑 이상, 70억 트랜잭션, TVL 2위권 |
전망 | 글로벌 송금, Web3 확산에 따른 활용 증가 가능성 |
🔍 트론 vs 이더리움 비교표
항목트론 (TRON, TRX)이더리움 (Ethereum, ETH)
출시 연도 | 2017년 | 2015년 |
창립자 | 저스틴 선 (Justin Sun) | 비탈릭 부테린 (Vitalik Buterin) |
목표 | 탈중앙 콘텐츠 생태계 | 탈중앙화된 스마트 계약/앱 플랫폼 |
합의 알고리즘 | DPoS (위임 지분증명) | PoS (지분증명, 과거엔 PoW) |
트랜잭션 속도 | 약 2,000 TPS | 20~30 TPS (레이어2 제외) |
수수료 | 거의 없음 (거의 무료) | 상대적으로 높음 (가스비 존재) |
개발 언어 | Solidity, Java 등 | Solidity |
대표 서비스 | BitTorrent, USDT 송금 | DeFi, NFT, DAO 등 |
TVL (예치 자산) | 이더리움 다음으로 높음 | 1위 (DeFi 생태계 중심) |
스테이블코인 채택 | USDT 중심, 송금 강세 | USDC/DAI 등 다양하게 사용 |
DApp 생태계 | 게임/엔터테인먼트 위주 | 금융, NFT, DAO 등 광범위 |
법적 이슈 | SEC 증권성 판단 이슈 있음 | SEC 이슈 지속 중이나 상대적 우위 |
전망 | 송금/간편결제 중심 확대 | 웹3, AI 연동, 레이어2로 확장 중 |
📌 요약 포인트
- 속도와 수수료 → 트론이 훨씬 유리
- 신뢰성과 생태계 다양성 → 이더리움이 압도적
- 스테이블코인 송금 → 트론이 많이 사용됨
- 기술 확장성 및 미래성장성 → 이더리움이 더 폭넓은 확장 계획 보유